증보가곡원류

논밭 갈아 김매고~

작자 미상


<출전> 『증보가곡원류』

작 품 감 상



원문

  논밧가라 기음매고 배잠방이 다님 쳐 신 들메고농사일을 마치고 새로운 일을 하기 위해 옷매무새를 가다듬는 모습

  낫가러 허리에 차고 독기벼려 두러메고 茂林山中 들어가셔 삭ᄯᅡ리 마른 섭흘 븨거니 뵈히거니무림산중을 찾아 온 이유 지게에 질머 집행이 밧쳐놋코 ᄉᆡ음을 차져가셔 點心도 도슭 부으시고 곰방ᄃᆡ를 톡톡 ᄯᅥ러 닙담ᄇᆡ 피여 물고 코노래 조으다가

  夕陽이 ᄌᆡ넘어갈졔 억개를 추이면셔노동 후 집으로 돌아가는 모습 긴 소래 져른소래ᄒᆞ며 어이갈고 ᄒᆞ더라

현대어 풀이

  논밭 갈아 김매고 베잠방이베로 지은 짧은 남자용 홑바지 다임대님. 바짓가랑이의 발회목 부분을 매는 끈. 쳐 신 들메고들어매다. 신이 벗어지지 않도록 발에 잡아매고.

  낫 갈아 허리에 차고 도끼 벼려날을 날카롭게 만들어 둘러메고 무림산중(茂林山中)울창한 산 속 들어가서 삭정이살아있는 나무에 붙어 있는 말라죽은 가지 마른 섶땔나무을 베거니 버히거니 지게에 짊어 지팡이 받쳐 놓고 샘물을 찾아가서 점심 도시락 부시고그릇을 씻고. 여기서는 씻듯이 그릇을 다 비웠다는 뜻임. 곰방대를 톡톡 떨어 잎담배 피어 물고 콧노래에 졸다가노동 후의 한가로운 모습

  석양이 재 넘어갈 제시간적 배경(저녁) 어깨를 추키면서 긴 소리 짧은 소리 하며 어이 갈꼬 하더라문학의 적층성: 민요의 사설과 유사
(평민문학의 민요와 활발하게 교섭)

작 품 정 리



주제

농촌 일꾼의 분주하고도 한가로운 하루

작자

작자 미상

내용 요약

농삿일의 하루 일과를 순서대로 나열하여 분주하고도 한가로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심 화 감 상



표현상의 특징

논밭갈이, 김매기, 나무하기 등 바쁜 하루의 일과를 보내고, 나뭇짐을 진 채 노래를 부르며 귀가하는 모습을 통해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화자의 시선에 포착된 농민의 모습을 전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