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 닫기

최유리


<출전> 삼국유사 기이2

배 경 설 화



신라 때 경덕왕이 누각에 올라 신하들에게 훌륭한 스님을 한 분 모셔 오라고 명하였다. 이에 신하들이 고귀해 보이는 고승을 모셔 왔으나, 왕은 자기가 찾는 스님이 아니라면서 그를 돌려보내고, 다른 스님을 누각 위로 모셔 왔는데 그는 향가 '찬기파랑가'를 지은 충담사였다. 이에 왕은 충담사에게 '안민가'를 짓게 하였고, 노래를 아름답게 여겨 그에게 왕사의 자리를 주었느나 그는 사양하였다고 한다.

작 품 감 상



 원문

  1. 君隱父也군은부야
  2. 臣隱愛賜尸母史也신은애사시모사야
  3. 民焉狂尸恨阿孩古爲賜尸知민언광시한아해고위사시지
  4. 民是愛尸知古如민시애시지고여
  5. 窟理叱大肹生以支所音物生굴리질대힐생이지소음물생
  6. 此肹喰惡攴治良羅차힐식악복치량라
  7. 此地肹捨遺只於冬是去於丁爲尸知 차지힐사유지어동시거어정위시지
  8. 國惡攴持以支知古如국악복지이지지고여
  9. 後句君如臣多支民隱如爲內尸等焉후구군여신다지민은여위내시등언
10. 國惡太平恨音叱如국악태평한음질여

 김완진 해독본

  1. 군은 아비요
  2. 신은 사랑하시는 어미요
  3. 민은 어리석은 아이라고
  4. 하실진댄 민이 사랑백성을 다스리는 방법의 핵심을 알리라
  5. 대중을 살리기에 익숙해져 있기에
  6. 이를 먹여 다스릴러라
  7. 이땅을 버리고 어디로 가겠는가
  8. 할진댄 나라 보전할 것을 알리라
  9. 아아, 군답게 신답게 민답게
10. 한다면 나라가 태평궁극적 지향을 지속하느니라.

 양주동 해독본

  1. 임금아버지
  2. 신하는 사랑을 주는 어머니
  3. 백성어린아이국가의 구성원을 가족 구성원에 비유
라고 하신다면가정법, 조건①
  4. 백성이 사랑을 알리라가정법, 조건①의 결과
위정자들의 책무(가족주의)

  5. 꾸물거리며 사는 물생백성을 비롯한 생물들
  6. 이들을 먹여 다스려서백성의 의식주를 해결함
→ 화자는 어려운 정치사상 대신 백성을 돌볼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에 대해 직설적으로 밝힘.

  7. 이 땅을 버리고 어디로 가리백성들의 판단을 인용
(여기가 가장 좋은데 여길 떠나서 어디로 가?)
한다면가정법, 조건②
  8. 나라 안이 유지될 줄 알리라가정법, 조건②의 결과
위정자들이 백성을 통치하는 방법(수직적 질서와 민본주의)

  9. 아아낙구의 첫 구는 감탄사 : 10구체 향가의 특징 임금답게 신하답게 백성답게사회 구성원으로서 각자의 본분에 충실한 삶 한다면가정법, 조건③
10. 나라 안이 태평할 것이리라가정법, 조건③의 결과
나라의 태평을 기원(명분과 실제의 일치)

작 품 정 리



 주제

백성의 안녕과 나라의 태평 염원
충언 : 구성원들이 본분과 도리에 충실할 것을 염원, 요구

 작자

충담사

 내용 요약

신라 경덕왕(747-765) 대 승려 충담사가 왕명에 따라 지은 10구체 향가로, 유교적 정치 이념에 따라 나라의 질서를 안정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창작되었다. 임금, 신하, 백성이 각자 자기 본분에 충실하면 나라가 잘 유지되고 태평하게 될 것이라는 염원이 담겨 있다.

 작품 분석

서사(1~4행), 본사(5~8행), 결사(9~10행)의 3단 구성

서사 : 임금과 신하와 백성의 관계
본사 : 군신의 의무 - 민본주의 실천의 근본 원리
결사 : 나라가 태평해지는 방법

심 화 감 상



 불교 중심의 사회에 반영된 유교 윤리 사상

'논어' 君君臣臣父父子子(군군신신부부자자)

공자는 바른 정치에 대해 '임금은 임금답게, 신하는 신하답게, 아비는 아비답게, 자식은 자식답게(君君臣臣父父子子)'라고 하여 사회 질서는 각 구성원이 주어진 본분에 맞게 그 역할을 다할 때 올바르게 유지된다고 하였다. 당시 경덕왕 때에는 천재지변이 잦아 민생이 어려웠고, 정치적으로는 강한 권세를 가진 귀족들이 왕권의 위협하는 등 국가적인 위기 상황이었다. 이에 불교 중심의 사회에서 게다가 충담사는 승려였음에도, 나라의 질서를 안정시키기 위한 대안 사상으로 유교를 받아들였음을 알 수 있다.

 창작 동기

당대 사회적 혼란이 극심해지자 경덕왕이 노래의 힘으로 민심을 수습하고자 충담사를 시켜 지은 노래로 사회 참여적 성격을 지님. 치국의 방법을 유교적 이념을 바탕으로 왕에게 간언하는 내용이 담겨 있어 정치적 목적성, 교훈성을 내포함.